‘선교적 교회(Missional Church)’는 현대 교회론과 선교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교회의 정체성과 사명을 선교적 관점에서 새롭게 정의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이 개념은 단순히 선교를 교회의 활동 중 하나로 보는 것이 아니라, 교회 자체가 선교의 존재론적 본질을 가지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다시 말해, 교회는 선교를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선교적인 존재라는 뜻입니다. 이러한 관점은 성경적, 신학적, 그리고 역사적 맥락에서 발전해 왔으며, 오늘날 교회와 선교학의 실천적 토대를 형성하는 중요한 기초가 됩니다.
1. 신학적 배경
선교적 교회 개념은 20세기 중반 에큐메니컬 운동과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개념에서 기원합니다.
• Missio Dei는 “선교는 교회가 시작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시작하신 것”이라는 인식을 기반으로 하며, 교회는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도구로 이해됩니다. 이 개념은 1952년 독일 빌링겐에서 열린 세계선교대회(World Mission Conference)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되었으며, 교회의 선교적 정체성을 강조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습니다.
• 신학자 **레스리 뉴비긴(Lesslie Newbigin)**은 서구 사회에서 교회의 역할을 재정립하며 선교적 교회의 중요성을 역설했습니다. 그는 교회가 단순히 예배와 교제를 위한 공동체가 아니라, 세상 속에서 하나님 나라를 증거하는 살아 있는 존재임을 강조했습니다.
2. 성경적 배경
선교적 교회의 성경적 기초는 창세기에서 요한계시록에 이르는 성경 전체에서 발견됩니다.
1. 창조와 언약: 하나님은 아브라함에게 “너를 통해 모든 민족이 복을 받을 것이다”(창 12:3)라는 언약을 주심으로, 하나님의 선교적 계획이 시작되었음을 보여줍니다.
2.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 예수님은 공생애 동안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선포하시며, 제자들에게 “너희는 세상의 빛과 소금”(마 5:13-16)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는 제자들이 세상 속에서 선교적 존재로 살아가야 함을 가르칩니다.
3. 초대교회와 사도행전: 오순절 사건(행 2장)과 이후 사도행전의 기록은 교회가 성령의 능력을 받아 세상 속에서 선교적 사명을 감당한 대표적 사례입니다. 초대교회는 지역 공동체와의 경계를 넘어 복음을 전하며, 선교적 정체성을 실천으로 보여줬습니다.
3. 역사적 배경
선교적 교회의 개념은 역사적 맥락에서도 발전했습니다.
• 초대교회: 1세기 교회는 박해와 고난 속에서도 지역사회에 복음을 전하며 선교적 본질을 구현했습니다.
• 중세 선교: 로마 가톨릭교회의 선교적 활동은 유럽 전역과 그 외 지역으로 복음을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때로는 제국주의와 얽히면서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 근대 선교 운동: 18~19세기의 선교 운동은 비서구 세계로 복음을 전파하는 데 기여했으나, 제국주의적 관점에서 선교를 이해한 한계도 있었습니다.
• 현대 선교 운동: 20세기 후반부터는 교회가 선교의 중심이 아니라 선교의 도구로 이해되는 Missio Dei 신학이 본격적으로 자리 잡으며, 선교적 교회 개념이 확립되었습니다.
4. 선교적 교회의 중요성
선교적 교회 개념은 선교학적으로 중요한 몇 가지 이유를 가지고 있습니다.
1. 교회의 정체성과 사명 재정립: 교회는 단순히 예배를 드리고 신앙생활을 하는 공간이 아니라,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공동체라는 인식을 제공합니다.
2. 교회의 세상 참여 강조: 선교적 교회는 세상과의 단절이 아닌 세상 속으로 파송된 존재임을 강조합니다. 이는 교회가 지역사회, 문화, 정치, 경제 등 다양한 영역에서 하나님의 뜻을 실현하도록 촉구합니다.
3. 교회와 선교의 통합: 교회론과 선교학은 별개의 영역이 아니라 하나로 통합되어야 하며, 선교적 교회는 이 둘의 관계를 명확히 설정합니다.
5. 실천적 적용
현대 교회는 선교적 교회의 비전을 실천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역사회 섬김, 창의적 접근 선교,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역 등은 선교적 교회의 실천적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아시아 교회는 공동체 중심적 문화를 활용해 지역사회와의 관계성을 강화하고, 복음을 삶의 모든 영역에 통합하는 선교적 본질을 구현할 잠재력이 큽니다.
결론적으로, 선교적 교회는 단순히 새로운 교회 모델이 아니라, 교회의 본질에 대한 성경적, 신학적 재발견입니다. 교회는 세상을 변화시키는 하나님의 도구이며, 선교적 교회는 그 사명을 충실히 이행하기 위한 비전과 실천의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선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문화 이해의 열쇠: 선교학 속 문화인류학의 중요성 (1) | 2025.01.14 |
---|---|
두 마음의 만남, 하나의 믿음으로: 한국과 필리핀, 신앙의 연대 (0) | 2025.01.12 |
단기선교: 정의, 효과, 문제점, 그리고 준비 (0) | 2025.01.08 |
선교에 대한 기본 이해 (0) | 2025.01.05 |
선교학-1 성육신적 선교원리 (0) | 202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