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생활

타갈로그 기본 문법 완벽 정리! 한국인을 위한 쉬운 설명

namsmissionlife 2025. 2. 21. 21:00
728x90
반응형


**타갈로그(Tagalog)**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 중 하나로, 필리핀의 공식 언어인 “필리피노(Filipino)“의 기초가 됩니다. 한국어와는 어순과 문법이 많이 다르지만, 기본적인 규칙을 이해하면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인이 배우기 쉽게 타갈로그 기본 문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1. 타갈로그의 기본 어순


타갈로그는 VSO(동사-주어-목적어) 어순을 사용합니다.
✅ 한국어: “나는 밥을 먹는다.” (주어-목적어-동사, SOV)
✅ 타갈로그: “Kumakain ako ng kanin.” (먹는다-나-밥을, VSO)

하지만 상황에 따라 SVO(주어-동사-목적어) 형식도 가능합니다.

✏️ 예제:
• “나는 밥을 먹는다.” → Kumakain ako ng kanin.
• “그는 책을 읽는다.” → Nagbabasa siya ng libro.

📌 2. 인칭대명사 (주어)


타갈로그의 인칭대명사는 강조형과 단축형이 있습니다.

한국어 강조형(강조할 때) 단축형(일반 대화)
나 Ako Ako
너 Ikaw Ka
그/그녀 Siya Siya
우리(포함) Tayo Tayo
우리(제외) Kami Kami
너희 Kayo Kayo
그들 Sila Sila

✏️ 예제:
• “나는 학생이다.” → Ako ay isang estudyante.
• “너는 선생님이다.” → Ikaw ay isang guro.
• “그는 친절하다.” → Siya ay mabait.

👉 일상 회화에서는 “ay”를 생략하고 **“Ako isang estudyante.”**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 3. 동사의 시제 (현재, 과거, 미래)

타갈로그의 동사는 동사 어근(root) + 접두사(prefix)를 활용해 시제를 표현합니다.
📌 주요 접두사:
• 현재형: “um”, “nag”, “na”, “i”
• 과거형: “um”, “nag”, “na”, “i”
• 미래형: “mag”, “ma”, “i”

✏️ 예제 (동사: “먹다” - “kain”)

시제 동사 변화 문장 예시
현재 Kumakain Kumakain ako ng kanin. (나는 밥을 먹고 있다.)
과거 Kumain Kumain ako ng kanin. (나는 밥을 먹었다.)
미래 Kakain Kakain ako ng kanin. (나는 밥을 먹을 것이다.)

✅ 현재형: “um” 삽입 + 반복 형태 사용 (Kumakain)
✅ 과거형: “um” 삽입 후 기본형 유지 (Kumain)
✅ 미래형: “ka” 추가 (Kakain)


📌 4. 목적어(ng, sa, kay의 차이)


타갈로그에서는 목적어를 **“ng”, “sa”, “kay”**로 구분합니다.

전치사 용도 예문
ng 일반적인 목적어 Kumakain ako ng kanin. (나는 밥을 먹고 있다.)
sa 장소/방향 Pupunta ako sa Maynila. (나는 마닐라에 갈 것이다.)
kay 사람 대상 Binigay ko ito kay Maria. (나는 이것을 마리아에게 주었다.)

💡 “ng”는 한국어의 ‘을/를’과 유사하고, “sa”는 ‘에’와 비슷하며, “kay”는 사람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 5. 형용사와 부사 (태도나 상태 표현)


타갈로그에서 형용사는 문장 앞에 오는 경우가 많고, 부사와 함께 자주 쓰입니다.

✅ 형용사 기본 패턴: Maganda ang babae. (그 여자는 예쁘다.)
✅ 부사 사용 패턴: Napakaganda ang babae. (그 여자는 매우 예쁘다.)

✏️ 형용사 예제:
• “행복한” → Masaya
• “예쁜” → Maganda
• “빠른” → Mabilis

✏️ 부사 예제:
• “매우” → Napaka- (ex: Napakabilis = 매우 빠르다)
• “조금” → Medyo (ex: Medyo mahirap = 조금 어렵다)
• “정말” → Talagang (ex: Talagang maganda = 정말 예쁘다)

📌 6. 의문문 (질문 만들기)


타갈로그에서 의문문을 만들 때 **“Ba”**를 사용하면 쉽습니다.

한국어 타갈로그
너는 학생이니? Estudyante ka ba?
그는 친절하니? Mabait ba siya?
우리는 갈 거야? Pupunta ba tayo?

💡 “Ba”는 보통 동사나 주어 뒤에 위치하며, 문장을 질문형으로 만듭니다.

📌 7. 기본 생활 표현


마지막으로, 자주 쓰는 기본 문장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한국어 타갈로그
안녕하세요 Kumusta?
감사합니다 Salamat!
미안합니다 Pasensya na.
이거 얼마예요? Magkano ito?
화장실 어디예요? Saan ang banyo?

📌 마무리하며


타갈로그는 한국어와 어순이 다르지만, 기본 패턴을 이해하면 쉽게 배울 수 있는 언어입니다.

🎯 오늘 배운 핵심 포인트
✅ VSO 어순 사용 (동사-주어-목적어)
✅ 시제 변화 (현재: Kumakain, 과거: Kumain, 미래: Kakain)
✅ ng / sa / kay의 차이 이해하기
✅ Ba를 활용한 의문문 만들기

이제 기본 문법을 익혔으니, 실제로 간단한 문장을 만들어 연습해 보세요!

📢 더 많은 타갈로그 학습 콘텐츠를 원하신다면, 댓글로 요청해주세요!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