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슬림 출신이 기독교를 믿게 되면 어떻게 될까?
✅ 기독교인이 되면서도 이슬람 문화 속에서 살아갈 수 있을까?
✅ 그들은 과연 무슬림일까, 기독교인일까?
무슬림이 예수님을 믿게 되었을 때 그들의 신앙과 정체성의 정도에 따라 6단계(C1~C6)로 나눌 수 있어. 이 개념은 John Travis가 선교 전략을 위해 정리한 것이야. 🗂️
💡 핵심 차이점은?
- 🗣️ 예배 언어: 기독교 예배에서 사용하는 언어
- 🎭 문화 정체성: 무슬림 문화 요소를 유지하는 정도
- 🤝 공동체 소속: 무슬림과의 관계
그럼 각 단계를 하나씩 자세히 살펴보자! 🔍
📍 C1: 서구식 기독교를 따르는 개종자
✅ 예배 언어: 외국어(예: 영어, 프랑스어 등)
✅ 문화: 무슬림 문화 완전 거부
✅ 공동체: 무슬림 공동체에서 완전히 분리된 서구식 교회
📝 설명
이 단계의 무슬림 개종자는 완전히 기독교 문화로 흡수돼. 이슬람 문화나 언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서구 기독교인과 똑같이 생활해.
📌 예시
- 미국이나 유럽에서 기독교로 개종한 무슬림이 기존 기독교인들과 함께 신앙생활
- 이슬람 복장을 벗고 서구식 옷차림을 입으며 기독교인이 됨
📍 C2: 현지어를 사용하지만 서구 기독교 방식 유지 🌏
✅ 예배 언어: 현지어(예: 아랍어, 페르시아어 등)
✅ 문화: 무슬림 문화 거부, 서구식 기독교 유지
✅ 공동체: 기독교 공동체 속에서 생활
📝 설명
C1과 거의 같지만, 단 하나의 차이점은 예배에서 현지어를 사용한다는 점이야. 하지만 문화적으로는 여전히 서구 기독교식 예배와 생활을 유지해.
📌 예시
- 아랍어 성경을 읽지만, 교회 예배 스타일은 미국식
- 기독교 문화가 강한 공동체에 속함
📍 C3: 무슬림 문화 요소를 일부 유지하는 기독교인 🏡
✅ 예배 언어: 현지어
✅ 문화: 무슬림 문화 일부 허용 (옷차림, 음식, 사회적 예절 등)
✅ 공동체: 기독교 공동체에서 신앙생활
📝 설명
C3 단계부터는 무슬림 문화 요소를 부분적으로 유지하기 시작해. 이슬람적 정체성을 모두 버리지는 않지만, 여전히 기독교 공동체에 속해 있어.
📌 예시
- 무슬림 스타일의 옷을 입지만 교회에서 예배드리는 사람
- 현지 음악과 문화적 표현을 기독교 신앙과 함께 유지
📍 C4: 무슬림 문화와 용어를 사용하는 기독교인 🎭
✅ 예배 언어: 현지어
✅ 문화: 무슬림 문화와 용어 사용 (예: ‘알라’를 하나님으로 부름)
✅ 공동체: 무슬림들과 소통하며 신앙생활
📝 설명
C4부터는 기독교 신앙을 유지하면서도 무슬림 문화와 더욱 밀접하게 연결돼. **"알라"**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전통적인 무슬림 스타일의 기도를 하지만, 예수님을 구주로 믿는 기독교인이야.
📌 예시
- 라마단(금식월)을 지키면서도 예수님을 따르는 사람
- ‘알라’를 하나님으로 부르고, 이슬람 방식의 인사와 예절을 따름
📍 C5: 무슬림 정체성을 유지하는 기독교인 🕌➡✝️
✅ 예배 언어: 현지어
✅ 문화: 무슬림으로 남아 있지만 예수를 믿음
✅ 공동체: 무슬림 사회 내에서 신앙생활
📝 설명
이 단계는 무슬림 정체성을 완전히 유지하면서도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이야. 외부적으로는 무슬림처럼 보이지만, 속으로는 기독교 신앙을 가지고 있어.
📌 예시
- 모스크에 출입하지만, 기독교 신앙을 고백하는 사람
- 무슬림처럼 기도하면서도 예수님을 따름
📍 C6: 비밀 신자 (숨겨진 기독교인) 🤐
✅ 예배 언어: 현지어
✅ 문화: 무슬림과 동일한 생활 방식
✅ 공동체: 신앙을 비밀로 함 (박해 회피)
📝 설명
C6는 자신이 기독교인이라는 사실을 전혀 드러내지 못하는 단계야. 무슬림 가족과 사회 속에서 신앙을 완전히 숨긴 채 개인적으로 기도하고 예배드려.
📌 예시
- 겉으로는 무슬림처럼 행동하지만, 몰래 성경을 읽고 기도하는 사람
- 신앙이 발각되면 심각한 박해를 받을 가능성이 높음
🔍 C1~C6 정리: 무엇을 의미할까?
⚡ 선교 전략과 접근 방식
- C1~C2: 서구식 기독교 중심
- C3~C4: 현지 문화와 신앙 조화
- C5~C6: 신앙을 숨겨야 하는 박해 지역
⚠ 위험 요소
- C1~C2: 무슬림과의 단절
- C5~C6: 생명의 위협
'선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 선교의 새로운 물결: 과거와의 비교 및 변화의 배경 (0) | 2025.03.02 |
---|---|
구약에도 선교가 있다? 📖🌍 (0) | 2025.02.28 |
📖 비판적 상황화(Critical Contextualization): 선교에서 어떻게 적용될까? (0) | 2025.02.11 |
폴 히버트(Paul Hiebert)의 문화 개념과 선교학적 적용 (2) | 2025.02.11 |
📖 선교사의 정의: 협의와 광의의 의미 그리고 현대적 개념 (2) | 2025.02.10 |